본문 바로가기

취미활동14

농지구매에 관하여.. 올 초 블로그 글에 농지 구매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란 글을 썼다..폭풍같은 올 한해가 지나며 결국 농지는 구매하지 못했다. 아니 정말 구매 직전단계까지 갔다가..엎어졌다고 봐야겠지.. 농지를 구매할것이냐, 촌집을 구매할것이냐로 다시 세부적으로 갈리게 되었고..와이프가 할거면 애들 쉴 수 있는 공간도 있도록 촌집으로 하자고 했다. 나쁘지 않지.. 요즘 인구소멸지역을 다시 살리고자 대도시에 집이 있어도 인구소멸지역에 추가 구매하는 집에 대해서는 2주택에 대한 패널티를 적용하지 않고 있으니 말이다.. 그리하여 촌집을 알아봤고,거의 가격조율까지 다 마치고 최종만을 남겨둔 상태에서 와이프의 반대ㅠㅠ 이유인즉..추후 재매각이 어렵지 않겠냐는 것.. 와이프 설득에는 실패했지만.. 난 그렇게 생각한다. 1. 재매각을 .. 2024. 12. 13.
2024년 농사계획 - 농지구매계획(1) - 농지 구매 방법 농지를 구입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다. 가장 좋은 방법은 공인중개사분의 추천을 받는 게 아닐까 싶다. 떴다방이 아닌 이상 한 군데 오래 터를 잡고 일하시는 분들인데.. 사기당할 일은 많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 시간절약, 사기안당할 것이라는 믿음 - 그것을 비용으로 지불하는데 우린 그걸 중개수수료라 부른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공매와 경매가 있다. 자세한 차이는 전문가분들의 블로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겠지만, 간단히만 기재하자면 경매 - 소재지 관할 법원에서 주관 / 유찰 시 1개월 단위로 진행 공매 - 체납자 등의 관할 세무서 및 관련 기관에서 주관 / 유찰 시 1주 단위로 진행 요정도의 차이가 있다. 예전에는 경매물건이나 공매물건을 구매하면 재수없다는 얘기도 있었다. 망한 자의 기운을 받는다나 뭐.. 2024. 1. 16.
2024년 농사계획 가장 큰 올해의 목표는 주말농장을 매입하는 것이다. 법률이 강화되어 진입장벽이 더 높아졌다고는 하지만, 더 늦기 전에 도전해보고 싶은 분야이다. 주말농장을 하고자 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1. 식물을 어떻게 심고, 키우고, 잎과 열매를 재배하여 자라는지 자라나는 아이들과 함께 공부해보고 싶다. 사실 아이들까지 아니고 와이프만 해도.. 요즘 도시에서 나고 자란 대부분의 사람들이 풀에서 나는 과채류와 나무에서 나는 과일의 구분도 힘든 경우가 있다. 나도 완벽히 알고 있지는 못하지만, 기본적인 형태를 보거나 무게를 보면 알 수는 있을 것 같다. 또 아이들에게 풀 한포기한포기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고 씨앗이 음식이 되어 식탁에 올라오는 모든 과정을 보여주고 싶다. (단, 육류 제외 - 육류는 사서 먹자) 물론 .. 2024. 1. 11.
임대텃밭 - (2023년 - 03 농사의 마무리) 비료도 주고 막걸리 살충제도 뿌려보고 이것저것 많은 노력을 기울여 보았다. 하지만, 이미 유해균이나 벌레들은 천연 살충제에 내성이 있고, 화학적인 저독성 농약에도 잘 듣지 않는 판인데..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비료 또한 마찬가지다.. 화학비료를 써 그때그때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해도 농사의 성공여부가 갈릴 수 있으나, 친환경이라는 이유로 비료가 제한되나 안타깝기만 하다.. 하지만 다행히도 배추는 어느정도 크기가 될만큼 자라고 있었고.. (겉은 이미 벌레에 다 먹혀서 버려야 할 수준이지만..)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서 자라고 있었다. 2023년 한해의 농사를 마무리 하며 몇가지 느낀점을 끄적여 보고자 한다. 도시텃밭이라는 제도.. 참 좋다. 나같이 농사를 지어보고는 싶은데.. 땅은 없고.. 그렇다고 한두.. 2024. 1. 10.
반응형